지난 2003년부터 지난해까지 60억원을 쏟아부어 구축한 부산인터넷교환센터(BIX)가 애물단지로 전락하면서 원인과 대책을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부산지역 산·학·연 관계자에 따르면 15일 정부 및 학계 전문가가 참여하는 ‘부산지역 BIX 활성화를 통한 지역정보 불균형 해소 및 IT산업 발전을 위한 대토론회’가 개최됐다. 이날 행사에서는 IX를 옹호하는 부산시 측과 해당 전문가들의 부산시를 향한 싸늘한 시선이 교차하면서, 부산시의 소극적인 행태와 관심부족에 대한 질타가 쏟아졌다.
◇부산시 “ISP사업자가 문제”=발제에 나선 김광회 부산 U시티 정책팀장은 “부산 경남 지역의 원활한 트래픽(데이터) 소통을 목적으로 8.4 의 용량 처리가 가능한 BIX를 구축했지만 정작 KT·하나로·LG데이콤 등 ISP사업자가 가입자 관리 및 연동폭 등을 문제삼아 기존 트래픽을 서울로 집중시키고 있기 때문에 BIX가 무용지물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BIX가 구축됐음에도 불구하고 지배적 ISP사업자들이 부산·경남지역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을 서울로 우회시켜 잇속만 챙기고 있다는 얘기다.
실제로 BIX 구축 이후 평균 2 정도만이 BIX에 연동돼 교환서비스가 이뤄지고 있다. 부산시는 KT 등 지배적 ISP가 ‘부산→서울IX→부산’이라는 복잡한 트래픽 소통 과정을 거치는 것을 “BIX는 인터넷서비스 제공업자 간 상호 무정산협정 체결에 의해 트래픽 양에 따른 이익이 발생하지 않지만 서울 소재 자사 IX를 이용할 경우 상호연동비 정산에 의해 엄청난 이익을 낼 수 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 패널 “자구책부터 내놔라”=그러나 토론에 나선 패널들의 견해는 부산시 입장과는 상당한 차이를 나타냈다.
조정문 한국정보문화원 글로벌기획팀장은 “ISP사업과 IX 운영은 사업자의 이익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기에 시장 경쟁에 맡기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또 선승호 한국정보사회진흥원 u정보서비스팀장은 “그동안 부산시에서 무관심했기 때문에 BIX 위기론이 나온 것 아니겠냐”며 “지역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은 지역 IX에서 소화하는 것이 맞지만 그 이전에 흩어진 IP주소 정리 등 BIX 활성화를 위한 지역의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재준 KINX 경영전략실장은 “민간 IX 사업자의 연동에 목매달 것이 아니라 IDC나 대형CP 등을 유치해 역으로 BIX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라 지적했다.
또 신대식 정보통신부 인터넷정책팀 사무관은 “공공 트래픽이 아닌 일반 상용 트래픽에 대해서 정부차원의 계속된 지원이 필요한지 검토가 필요하다”는 말로 부산시의 정부 개입 요구를 비켜갔다.
이에 대해 김철수 인제대 교수는 “결국 돈 문제다. 대기업을 BIX에 연동시키려면 그에 합당한 비용을 지급해야 하는 것이 맞지만 현재 부산시 재정으로는 어렵다는 것이 문제의 요지다. 부산시 차원의 해법은 결국 정부 지원을 끌어내 대기업의 수익을 맞춰 연동시켜 나가는 방법밖에는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부산=임동식기자@전자신문, dslim@